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정치부 이민찬 기자 함께 합니다. 첫 번째 주제, '친문 취향저격'. 이재명 경기지사가 요즘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언급이 잦은데, 좋은 말 일색이네요. <br> <br>대법원 판결 직후 이재명 지사는 문재인 대통령의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소회를 밝혔는데요. <br> <br>[이재명 / 경기도지사(그제)] <br>"우리 문재인 대통령께서 하시고자 하는 일, 또 우리 민주당이 해야 하는 일들이 성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." <br><br>어젯밤에는 문 대통령이 개미주주의 목소리를 반영해 금융세제 개편안 재검토를 지시했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.<br><br>Q. 이 지사가 민주당 소속이다 보니 대통령 결정에 호응하는 게 새삼스럽진 않은데요. 문 대통령에 대한 극존칭이 눈에 띄네요. <br> <br>이재명 지사의 SNS 글을 보면요. <br><br>대통령님 말씀을 관료들이 귀담아 듣길 바란다. 대통령님 말씀처럼 개인 투자자들 의욕을 꺾지 않아야 한다. 이렇게 적었습니다. <br> <br>또 "국민 목소리 정책에 반영하는 우리 정부 참 든든하다"고도 했는데요.<br> <br>문 대통령이나 정부를 직접 비판하는 말은 없었습니다. <br><br>Q. 이 지사에 대한 친문 지지층의 감정이 썩 좋은게 아니잖아요. 그런 것이 영향을 미친 걸까요? <br><br>이재명 지사, 차기 대선후보 지지율에서 2위를 달리고 있죠.<br> <br>그런데 이 지사가 넘어야 할 산이 이낙연 의원 말고 또 있습니다. <br> <br>바로 문 대통령 강성 지지자들인데요. <br> <br>지난 대선 경선에서 생긴 앙금 때문입니다, <br> <br>[이재명 /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(2017년 3월)] <br>"(대기업) 법정 부담금 15조 원을 폐지하시겠습니까? 그냥 두겠습니까?" <br> <br>[문재인 /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(2017년 3월)] <br>"지난번에 이미 말씀드렸고요." <br> <br>[이재명 /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(2017년 3월)] <br>"아니, 안 하겠다는 뜻입니까?" <br> <br>[문재인 /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(2017년 3월)] <br>"자, 벌써 말씀드렸고요.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최순실 국정농단의…" <br> <br>[이재명 /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(2017년 3월)] <br>"아니 A를 물으면 A를 답해 주시고, A에 대해서 B 얘기를 하지 마십시오. 국정 농단이 왜 나옵니까." <br> <br>그래서일까요? <br> <br>대법원 판결 이후 민주당 권리당원 게시판엔 이재명 지사 탈당을 요구하는 글이 꾸준히 올라오고 있습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 볼까요. '반기든 추미애?' 추미애 장관, 법무부 장관으론 이례적으로 부동산 현안에 목소리를 냈어요? <br><br>추미애 장관은 오늘 SNS에 "그린벨트를 풀어 서울·수도권에 전국 돈이 몰리는 투기판으로 가게 해선 안 된다"고 적었습니다. <br> <br>법무부는 부동산 대책과는 거리가 있는 부처인데요. <br> <br>그린벨트 해제를 추진하는 당정청의 입장과도 상반되는 주장입니다. <br> <br>[김상조 / 대통령 정책실장(어제, KBS 라디오)] <br>"(그린벨트 해제 여부는) 이미 당정 간을 통해서 의견을 정리했습니다. 관련된 논란을 풀어가는 것이 정부의 역할(입니다.)" <br><br>Q. 과거 박원순 전 서울시장도 그린벨트 해제를 반대해 왔잖아요? <br><br>네. 그래서인지 내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와 연관짓는 해석이 나옵니다. <br><br>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"국토부 장관 추미애, 서울시장 나올 모양이네, 아니면 대권?"이라고 적었습니다.<br><br>Q. 추미애 장관 최근에 SNS 활동도 열심히 하고 계신데, 서울시장 출마와 관련해 입장이 나온 게 있나요? <br><br>아직 그 부분에 대해선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. <br> <br>[추미애 / 법무부 장관 (어제)] <br>"(일각에서는 공백이 생긴 서울시장 자리에 장관님이 가셔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데요?) <br>…" <br>취임한 지 6개월 밖에 되지 않은 데다 공수처 출범 등 챙겨야 할 사안이 산적한데요. <br> <br>후임자 인선 문제도 있어 출마는 문 대통령의 선택에 달린 게 아닌가 싶습니다. <br><br>Q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